초전도 분야 핵심기술 조기 확보 기대

기술기반조성사업Ⅳ
초전도기술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

기존의 전기기술은 ‘전기저항으로 인한 손실을 어떻게 최적화시킬 수 있느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지만, 초전도기술은 이와 달리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도현상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차원의 혁신적 기술이다. 초전도 기술이 산업에 적용될 경우 에너지 절약 효과·자원 절약 효과·고에너지밀도 효과·고성능화 효과 등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사업개요
향후 국가 경제의 생존 전략 차원에서 다양한 산업으로의 기술 파급효과와 함께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핵심기술인 초전도기술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기술 파급의 스펙트럼 효과가 크고 기존에는 없는 새로운 개념의 기기를 생산함으로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 할 수 있다.
또, 21세기에는 국가 간의 기술개발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이며 WTO와 APEC 등에 의해 국가 간 관세장벽이 완전 철폐되기 때문에 산업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제경쟁에서 이기지 못하면 국가의 생존권이 위협받는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나라의 기술력이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시기에 직면해 기술 개발 정책에 있어서도 보다 장기적이며 계획적인 전략적 대책이 요구되고, 산업 구조 역시도 과거의 노동집약적 제조업 형태에서 탈피해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고부가가치 첨단기술 산업을 육성해야 하는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졌다.
초전도기술은 상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기술이지만 산업화시키기 위한 구심점이 없어 개발이 부진했다. 이런 문제의식으로 산자부는 초전도기술을 21세기 돌파산업으로 집중 육성키로 결정하고, 이를 통해 초전도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체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구심점인 ‘초전도기술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이 시작됐다.

내용 및 성과
2000년 6월부터 2005년 5월 말까지 5년 간의 계획으로 시행되는 ‘초전도기술 산업화 지원센터 구축사업’은 한국전기연구원이 주관하고 현대중공업·LG전선·효성·고려제강·넥상스코리아·덕성·한국SMT·CVE·다원시스·VCT 등 10개 업체가 참여했으며 한국전기연구원 성기철 연구원이 총괄책임을 맡았다.
작년 6월까지 2년 간 정부지원금 12억원과 민간부담금 7억원 등 총 1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었으며, 오는 2005년까지 정부지원금 60억원과 민간기업부담금 25억원 등 총 85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초전도 센터 실험동 신축(한국전기연구원 내) △초전도 초전도 마그네트 해석용 S/W 구축 (OPERA 2D, 3D) △△ 특성 실험용 LN2 Transfer Tube 제작 △대용량 AC Power Supply 구축 △Universal Load Bank 제작△ △Pulsed Laser Deposition System 구축 △산업화 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www.itcas.re.kr) △초전도기술 산업화 지원센터 설립 자문회의 및 운영위원회 운영 등의 실적을 올렸다.
국내 초전도기술은 관련업체의 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부족과 종합적인 연구개발 정책의 부재로 인해 연구시점도 선진국 보다 40년 늦었고, 인력 및 예산 측면에서도 1/20정도로 매우 열악한 연구개발 환경이었다. 따라서 초전도기술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지원센터를 설립한다는 것은 인식개선이라는 힘든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기회가 있을 때마다 관련 산업체와 정부의 담당자를 만나 필요성을 설명하고, 국가 연구개발사업 공고 시 관련기술을 제안하고, 홍보매체를 통해 기술을 소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경주했다.
성기철 연구원은 이와 함께 “선진국에서 연구개발 결과가 하나 둘씩 결실을 맺게 됨에 따라 정부의 지원으로 사업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고 밝혀 정부의 의지가 중요했다는 것을 강조했다.

기대효과
초전도기술 산업화 지원센터를 통해 구축된 연구개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서 초전도분야의 핵심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개발된 기술이 적기에 상용화되기 때문에 2015년경에는 일부 주요 초전도기술을 상용화함으로써 5,000명 정도의 신규 고용 창출과 연간 6,000억원 정도의 초전도제품 판매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초전도기기의 적용을 통해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과 그에 따른 수입절감 및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와 같은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2003. 1. 17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