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사태로 촉발된 원전수거물관리시설(원전센터) 후보지의 연내 선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원전센터 신설에 따른 국책사업이 해법을 찾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경북 울진군 근남·기성이 처음으로 27일 원전수거물관리시설을 지역내 유치하겠다는 청원을 냈다. 이어 전남 영광군 홍농도 이에 뒤질세라 28일 신청을 했다. 고창과 완도도 31일로 마감되는 유치 시한 안에 청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7년여 동안 표류해온 국책현안사업이 해결될 기미를 보이고 있어 천만 다행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유치 희망 시·군을 대상으로 오는 9월 15일까지 해당 자치단체장에게 예비신청을 받은 뒤 주민투표를 실시하고 유치 찬성이 가결된 시·군을 대상으로 오는 11월 30일까지 본신청을 받은 후 심사를 거쳐 연말에 최종 부지를 확정한다.

하지만 순탄치 만은 않을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만반의 대비책도 필요하다. 당장 이들 유치청원 지역 내에서도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규합하려는 움직임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영광군의 경우 반대측인 대책위와 일부 주민들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핵 폐기장 시설은 한 개 지역 주민들의 동의만으로 되는 일이 아니다며 이번 유치 청원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27일 홍농의 유치 청원 제출에 맞춰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또다시 주민 갈등을 부추기면서 핵폐기장 유치를 강행할 경우 제2의 부안사태가 영광에서 일어나지 말란 법이 없다는 내용의 유치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울진군 원전관리 담당 관계자와 이 지역의 반핵단체측도 유치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울진에는 원전 6호기가 건설됐고 4호기는 건설에 필요한 부지가 지정되는 등 이미 핵단지화가 된 상태라며 나아가 원전센터까지 유치하겠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도 그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울진지역에는 핵관련 시설을 짓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고창과 완도도 녹녹치 않다. 유치 찬성 이면엔 ‘내 고장을 살리는 것이 곧바로 죽이는 것’이라는 선동을 일삼으며 세를 규합하고 있다.

원전센터 유치 지역에는 부수적으로 양성자 가속기, 한수원 본사 이전 등 2조원에 달하는 각종 사업이 제시돼 지역 발전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유치 찬성에 동의서를 모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반면에 반대를 위한 반대를 일삼는 반핵단체들 역시 제2의, 제3의 부안사태를 노리고 있다.

이젠 정부가 가야 할 길은 외길이다.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는데 선의의 경쟁을 통해 술수를 부리지 말고 올곧게 총력을 기우리는 길 밖에 없다. 원전센터 유치 반대측이 주장하는 논리 ‘원전수거물=핵=불안’이라는 인식도 바로잡아 주면서 국민의 의식을 높이는 홍보의 극대화도 절실하다. 다음 세대를 위한 역사를 만든다는 심정으로 원전정책을 정립할 때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