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하고 적극적인 활용이 국제경쟁력 높이는 지름길”

좀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표준은 기술 자립 위한 필요 요건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송전, 변전, 배전 등 모든 전력설비를 설계하고, 건설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절차를 모아 집대성 한 것이 바로 KEPIC입니다. 즉 KEPIC을 적용하게 되면 가장 싸게 건설하고,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대한전기협회 이삼철 KEPIC 사업을 추진하게 된 가장 큰 이유가 바로 우리만의 기술기준을 갖춤으로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 세계 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국 것만 갖다 쓰면 우리 것이 없지 않습니까.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술이 있어야만 저렴하면서도, 합리적인 건설 및 운영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처럼 기술 자립은 한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전제조건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 자립의 필요 요건이 곧 표준이고요.”

그리고 이 처장은 KEPIC에 대해 어렵게 느끼는 이들이 많다며 좀더 쉽게 설명을 해 줬다. 이 처장은 예를 들어 발전소 하나를 짓는데 있어, 설계에서부터 건설, 검사, 유지·보수·운영은 물론 기자재 재료·제작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련의 과정에 적용되는 기준이 각 회사마다, 그리고 각 국가마다 모두 틀리다는 것.

“이에 가장 적합하고 합리적으로 적용될 하나의 표준을 개발해 집대성 해놓은 것이 바로 KEPIC입니다. 즉 KEPIC 하나만 있으면, 누구라도 이를 적용해 모든 과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죠.”

이 처장은 사실 우리의 독자적 표준이라고는 하지만, 이미 표준이 WTO/TBT 협정에 의해 국제화 대상이 된 만큼 내용 상으로는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그러나 외국의 표준이 아닌 한글로 돼 있는 KEPIC이 있음으로 인해 관련업계가 얻는 효과는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공인검사나 품질보증의 경우 KEPIC이 있어 우리나라에서 받도록 돼 있습니다. 만약 KEPIC이 없었다면 미국이나, 유럽 등 타 국가에서 비싼 비용을 들여가며 검사 등을 받아야 하는 것이죠.”

특히 이 처장은 KEPIC이 없다면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신기술 등이 미국이나 유럽 등의 표준에 접목시켜야 하는데, 이는 엄청난 손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 처장은 표준이라는 분야는 100년 대계를 놓고 봐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이 처장은 이미 개발돼 있는 국내 기술 중 KEPIC으로 접목될 수 있는 분야를 찾아 적용시키고, 개발된 신기술이 있으면 이를 또 KEPIC으로 접목시키는 작업이 계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KEPIC을 계속해서 업데이트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준은 멈춰져 있으며 죽은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기술이 계속해서 발전하고, 환경도 수시로 변화하는 요즘 이러한 변화를 KEPIC에 지속적으로 반영해 나가는 것이 바로 생명을 이어나가는 것입니다.”

아울러 KEPIC의 해외수출에 대해 이 처장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KEPIC의 직접적인 수출이라기보다는 KEPIC이 적용된 원자력발전소의 수출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무엇보다 국내 발전소에서 KEPIC이 적용돼 건설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수출에 있어 안정성 및 경제성을 쉽게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죠.”

끝으로 이 처장은 지금까지 전력산업 여러 분야에서 KEPIC을 활용해 줌으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왔지만, 앞으로 더욱더 많은 활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처장에 따르면 현재 원자력분야의 경우에는 KEPIC을 100% 활용하고 있으며, 화력분야 및 송·변·배전 분야에서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KEPIC은 전력산업계의 합의로 이뤄진 것입니다. 지속적으로 KEPIC 활용률이 높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앞으로 더욱 더 많이 활용해 KEPIC이 진정한 전력산업계의 단체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드립니다.”

이처럼 KEPIC은 국내 전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이 처장은 설명했다. 특히 이 처장은 본인의 임무가 바로 앞으로 더욱 전력산업계가 아주 쉽고, 효과적으로 KEPIC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