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원인 찾고 기존설비 개선 병행하는 특단 대책 강구해야

ESS 화재에 대한 대책은 정녕 없는가. 8일 현재까지 ESS화재는 28건이 전국에서 발생했다.아직도 화재가 일어날 것인지에 대해 예측불가다.

전문가들은 지난해부터 실증을 다 해본 터여서 근본원인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시일이 걸리더라도 차근차근 기존 설비에 대한 개선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입을 모은다. 다시말해 기존설비 개선 없이는 화재를 차단하기가 쉽지 않다는데 동의한다.

올해 정부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실증조사까지 실시, 지난 6월에 발표 했지만 그 뒤로도 화재가 발생,완전한 대책이 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9월에는 전기산업진흥회를 중심으로한 ESS 생태계 육성 통합 협의회를 발족 하는 등 ESS 산업의 체계적 육성에도 나서고 있지만 아직은 초기여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내놓기가 쉽지 않다.

경기도 산업공단에서 전기기기제조업을 운영하는 A사는 최근 정부와 안전 공사 등으로 구성된 합동 조사단으로부터 현재 운영중인 ESS 가동 중지를 요구 받았다.
한달에 전기요금이 수천만원대서 ESS 운영을 통해 절감 노력을 하려 했지만 가동중단을 통고 받고 멈춘 상태다.

이처럼 ESS는 비록 화재 원인과 결과에 대해 발표가 있었지만 계속해서 불이 나기 때문에 정부는 우선 완전히 화재 원인이 밝혀지기 까지는 ESS 운영을 중단 시키고 있다.

한전의 경우 FR용이 13개 사이트 376 MW, 피크부하용 6.6MW, 배전선로용 50MW를 운영해 왔지만 현재 모두 운영 중단 상태다.

또 민수용은 1490개 사업장서 4773MW/h(밧데리 용량기준)이 운영 되어 오고 있지만 공단 대형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사이트를 중심으로 가동을 중단 시키고 있다.
현재 LG화학, 삼성SDS 등 배터리 제조사들은 소화대책을 강구하는 등 화재발생에 대비하고 있고 운영자인 한전등은 시스템 보호설비를 확충하는 등 설비 개선 대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ESS는 수분,온도,먼지등에 민감,항온 항습 기능을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한데 지금 설치된 설비 대부분이 이같은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사이트가 많다는 지적이다.

정부도 ESS화재 사고원인으로 배터리 보호 시스템, 운영관리, 설치 부주의, 통합제어 보호 시스템 미흡 등을 꼽은 바 있으며 운영상 온도, 습도 등을 엄격 관리 하고 설치기준등에서 전기적 보호장치 시설 의무화를 안전대책으로 제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