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법인 설립 등 탄력 22년 3월 개교 목표 차질없이 추진

지난 8일 한전 이사회가 한전공대(가칭) 설립 및 법인 출연안을 상정·의결 한 것은 대학설립이 구체화 된다는 신호탄이다.다시말해 학교법인 설립에서부터 캠퍼스 구축 등 오는 2022년 3월 개교 목표에 맞춰 모든 계획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길을 마련 했다는 의미다. 최근 에너지 산업은 글로벌 기후변화 적응과 4차 산업혁명의 큰 흐름 속에서 저탄소
디지털·탈집중화 등 대전환 시대가 도래하여 한전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신성장동력 발굴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한전공대는 에너지 기술을 혁신할 ‘새로운 연구 플랫폼’으로서 인적?물적 핵심역량과 자원을 제공, 에너지 신산업 육성 등 산업의 확장을 통해 한전의 미래 신사업 및 신시장 창출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한전은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으로서 대학 설립을 주도하되, 정부·지자체의 안정적 지원으로 국가·지역에 성과 확산을 기대한다”며 “한전공대의 연구개발 성과 사업화를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여 기업과 주주의 가치 제고 등 한전의 장기적 이익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전공대는 한전의 전력연구원(응용기술 개발 및 적용), 한전공대(대형과제 중심의 기초연구 및 적용) 상호보완적 운영을 통한 협력의 시너지를 창출, 한전의 기술 및 인재 역량 확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전공대는 학생수 1,000명 수준으로 그 중 대학원생이 600명, 학부생이 400명인 ‘작지만 강한’, ‘연구형’ 대학을 지향한다. 학과간 벽을 허물기 위해 단일학부로 개설하고,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중심의 융복합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에너지 산학연 클러스터에 특화된 대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한전공대는 당초 알려진대로 약 6210억원의 설립비용, 641억원의 운영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이처럼 막대한 설립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전력계를 비롯한 에너지 업계는 뜻이 아무리 좋다고 할지라도 적자에 허덕이는 한전의 현 상황을 감안 한다면 한전공대 설립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구나 관련업계는 1960년대말 지금의 한전공대와 유사한 ‘수도공대’ 설립도 결국은 크게 성공하지 못한 전례에 비추어 볼 때 다양성과 자율성이 강조되는 현 시대에 에너지 특성화 대학은 설립 취지에 모순이 있다는 것.

더욱이 한전이 창사이래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현 상황에서 커다란 자금이 투입되는 대학설립에 나서는 것에 대해 탐탁치 않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