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발표


올 하반기부터 2000여 가구에 2년간 ‘주택용’ 계시(季時)별 요금제가 시범 적용된다. 계시별 요금제는 봄가을·여름·겨울 3계절에 최대·중간·경부하 3개 시간대별로 전기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제도다. 현재는 ‘산업용’과 ‘일반용’에만 적용되고 있다.

산업부는 18일 녹색성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2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기본계획은 향후 5년간의 전력 정책 방향을 담고 있다.

지능형전력망(스마트그리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전기 공급자와 소비자가 전력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하는 방식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망이다.

이에 정부는 에너지전환 시대, 소비자가 중심이 되는 전력시장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5년간 4조5000억원을 투자해 △스마트그리드의 신(新)서비스 활성화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 △인프라 확충 △확산 기반 구축 등 4개 부문별로 추진한다.

특히 ‘서비스 체험단지 조성’의 경우 주민들이 일상에서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2개 도시 지역을 선정해 스마트계량기(AMI), 태양광, 전기차 충전기 같은 분산형 전력 설비를 집중적으로 구축하고 계시별 요금제, 전력중개사업 등의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당장 내년부터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하나하나 실증해 2021년 말 완공되는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민 누구나 다양한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간대 별로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는 AMI를 전국 2250만 가구에 지속적으로 보급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실시간으로 신재생발전소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통합 관제시스템을 2020년까지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대형 공장이나 건물이 참여하는 수요자원 거래시장(DR)도 국민 DR 시장으로 확대한다. 소형 상가나 주택용 소비자도 수요 감축 요청을 받으면 전기 사용을 줄여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6개월 간 시범 운영한 후 참여율, 인센티브 등을 고려해 내년 하반기까지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다.

그밖에 소비자가 개인정보 제공에 한 번만 동의하면 일정 기간 동안 한전이 개인의 전력 사용 정보를 사업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전력 빅데이터 플랫폼을 내년부터 운영한다. 이를 통해 이웃 간 전기요금 비교, 국민 DR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성공사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ESS, 전기차 등 소규모 전력자원을 모아 거래하는 전력중개사업은 올해 말까지 시행령과 관련 규정을 개정해 제도를 마련하고 내년부터 시장을 개설해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