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연설, 신북방정책 계기
한전, 기술적·경제적 우위확보 노력 등 만반의 준비 태세 돌입

문재인 대통령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연설을 계기로 수면아래에 있던 동북아 수퍼그리드구축 추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7일 문재인 대통령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열린 제3차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나는 동북아 경제공동체와 다자안보체제까지 전망하는 큰 비전을 가지고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것을 동북아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제안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외교부, 통일부, 기재부, 통일부로 구성된 북방경제위원회는 본격적으로 동북아 수퍼그리드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에 착수 했으며 관계부처간의 실무협의를 통해 방향을 마련하고  컨퍼런스등을 통해 세부방침을 확정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수퍼그리드의 실질적인 사업을 수행할 한전은 전력계통본부를 중심으로 기술적, 경제적 우위를 확보하고 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사업 모델 발굴을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전문가 풀을 구성하는등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또 한전은 동북아 연계의 핵심기술인 HVDC( 초고압 직류송전)등 관련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
수퍼그리드란 대륙간 혹은 국가간 전력계통을 연계해 신재생에너지와 화력 발전을 통합운영하고 전력거래로 수익을 창출하는 고도화된 전력망이다.

문대통령의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축은 몽골의 바람과 러시아의 수력으로 청정한 에너지를 생산해 한국, 중국, 일본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공동체를 내포한다.

문대통령 구상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몽골과 러시아의 풍부한 신재생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고 노후 석탄 발전소의 미세먼지 저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중국과 일본에도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계통운영측면에서 국가간 전력이 연계가 될 경우, 평상시에는 예비율 공유로 계통한계가격을 낮추고 혹시 생길 줄 모르는 전력공급 위기시에는 전력 스와핑을 통해 전력수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북유럽 수퍼그리드 참여 국가들처럼 에너지 공동체가 되는 것을 뜻하게 된다.

현재는 한중일 3국을 비롯 동북아지역 전체의 공통된 가치창출을 위한 한중일 시범사업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3국이 공동으로 노력 중이며 러시아와 전력연계에 관한 협의는 시작단계에 있다.

수퍼그리드는 1901년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발전한 전기를 활용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를 연계한 것이 그 시초이며 1990년대부터 북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부유럽·중동·북아프리카(Sub EU-MENA Supergrid), 아프리카 잉가 프로젝트, 동남아 아세안 파워그리드 까지 연계가 추진되는등 확산 추진에 있으나 동북아 지역은 아직 전력망 연계가 미흡하다.

특히 한국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에너지와 관련해서는 고립된 섬이나 마찬가지이며 에너지 사용량이 많고 계통이 복잡하나 국가간 연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현재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2030신재생에너지 정책과 함께 반드시 실현 되어야할 사업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