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에너지 ‘원자력’ 인정하면 수용성 커질 것
E신산업 기업투자가 관건…우수 인력 유치 주력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장으로 재임하는 기간동안 석유·가스 분야 밸류체인 산업화, 원자력 안전분야 중점 연구,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등 세가지 분야에 대해 중점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난달 13일 에경연 11대 원장으로 취임한 이래 부단히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고 밝힌 박주헌 원장은 이달 진행된 울산청사 이전 기념식에서 기자들과 만났다.

“원전 안전에 대한 의견이 워낙 다양합니다. 현실적으로 완전히 신재생에너지나 에너지신산업이 가격·기술적인 경쟁력을 갖추기까지는 화석에너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에너지안보라는 측면에서 원자력이 현실 에너지라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원자력에 대한 많은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입니다.”

박 원장은 (원자력안전에 대해) 국민들의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거버넌스, 제도 등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에너지신산업의 경우 육성되기 위한 시장 구조, 제도 개선 등에도 임기동안 연구원들과 머리를 맞댈 예정입니다. 초기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국가가 보조금 등을 투입해 할 수도 있지만 결국엔 기업이 투자를 해야 합니다. 기업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돼야 합니다.”

결국 에너지신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물론 충격을 줘선 안 되지만) 장기적으로 전기요금 정상화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현재 전기요금이 저렴하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를 하지만 에너지 다소비업종 중심의 산업구조나 물가 상승 문제 때문에 전기요금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전기요금이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에너지신산업이 발전하는 것도 힘들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박 원장은 에너지신산업이 제대로 육성되려면 전기요금 정상화가 전제돼야 하고, 시장경쟁은 판매시장 개방 등 시장기능이 잘 발휘되는 부분부터 단계적으로 갈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겠지만 에너지는 완전 자유화가 어려워 완전히 시장에 맡긴다는 것은 부적합하다고 봅니다. 장기적인 로드맵을 만들어 방향성을 제시하고, 경제주체들에게 적응기간을 줘야 할 것입니다.”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제조건은 결국 ‘가격’적인 부분이지만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게 박 원장의 생각이다.

“지방이전과 관련해 에경연이 당면한 가장 큰 숙제는 기존 인력의 유출을 막고 새로운 우수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지역 대학과 함께 에너지경제 전공 인력을 배출하도록 협력하고 향후 처우개선을 통해 우수인력이 모일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박주헌 에경연 원장은 연세대 경제학과를 나와 연세대 경제학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계량경제학을 전공한 박 원장은 1991년 에경연 연구원으로 에너지 분야에 첫 인연을 맺은 뒤 대학에서 환경경제학을 강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위원회 위원, 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민간위원, 한국석유공사 이사, 에경연 연구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한편 취임 당시 경영개선 과제로 기관 이전에 따른 원거리 이동 불편 해소, 탄력시간근무제 도입, 울산 이주 유도, 의왕 구청사 매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