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본부·국제협력사업 확대…ODA 강조
내년말까지 국제기구에 5명 파견 목표

지난해 8월 에너지관리공단 신임 수장으로 취임한 허증수 이사장은 전형적인 학자 타입으로 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기후변화·에너지 T/F팀장을 맡았었다.

그간 정부 관료 출신 이사장이 대세였던 에관공에 교수 출신의 수장이 취임, 거는 기대가 상당했다. 허 이사장이 취임한 이후 에관공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바로 지역본부 강화와 국제협력사업 확대다.

결제 하나를 하더라도 꼼꼼하게 살핀다고 한다. 최근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예산이 점점 줄어드는 것에 대해 깊은 아쉬움을 토로한 허증수 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만나봤다.

“에관공의 예산은 정부에서 받다보니 사업분야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효율예산에 있어서도 에너지기술평가원의 R&D자금은 1200억원인 반면 에관공이 추진하고 있는 LED보급사업 300억원, 정책육성 22억원에 불과합니다. 그나마도 예산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죠.”

허증수 에관공 이사장은 최근 ‘예산’ 부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정부가 육성, 진흥 프로그램을 잘 만들어야 합니다. 신재생분야의 RPS나 FIT도 결국 ‘돈’문제입니다.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산 문제는 에관공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에관공은 수요관리사업이 아닌 에너지효율관리사업을 하는 것이 정확할 것입니다. 대부분 에관공을 수요관리기관으로 알고 있으나 정작 에관공은 수요관리에 대한 권한이 없습니다. 다만 에너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또한 이를 생활문화로 정착시키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허 이사장은 현재 전력기반기금은 한전이,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에특회계)는 석유공사가 운영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특정 공기업이 관련 자금을 운영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을 수 있어 이들 자금이 수요관리에 적정하게 투입되기 위해서는 틀 자체를 바꿔줘야 한다는 것.

“에관공이 근본적인 측면에서 효율관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강화할 방침입니다. 에너지효율의 표준화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표준이 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관공이 그 표준이 될 수 있도록 목소리를 키워 단계적 변화를 꾀할 것입니다.”

허 이사장은 효율관리 분야는 향후 비즈니스 섹터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ODA자금으로 나가는 우리나라 예산은 1조5000억에서 2조원이고 미국과 일본은 150조원대입니다. 우리가 개도국 지원명목으로 20%만 끌어와도 매출액 20조원대의 KT와 같은 대기업을 유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허 이사장은 녹색ODA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ODA는 본래 개도국 지원프로그램이지만 최근 범지구적인 온실가스감축과 신재생에너지산업 확충 바람을 타고 녹색ODA로 이름이 바뀌면서 신재생에너지기업이 개도국에 각종 설비를 수출할 수 있는 매개로 주목받고 있다. 기금 공여자가 자금을 개도국에 주면 개도국은 신재생에너지설비를 구입해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식이다.

허 이사장이 녹색 ODA를 강조하는 것은 국제협력사업의 확대를 의미하기 때문. 이사장 취임 이후 지역본부와 국제협력사업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그로써는 당연하다는 설명이다.

“국제기구 파견에 있어서도 에관공 직원들의 경우 10년 이상 근무한 전문가로 당당하게 국제기구에 50:50의 비용부담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파리에 1명, 내년초에는 비엔나에 전문가(Expert)를 파견할 예정입니다. 목표는 내년말까지 5명 정도를 파견하는 것입니다.”

국제기구 파견의 경우 대부분 100% 파견자 부담이 상례였던 점을 감안하면 에관공의 경우는 매우 파격적이다. ‘국제기구에 취직하려면 에관공으로 와라’는 말이 나올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게 허 이사장의 계획이다.

“에관공의 개도국 교육 프로그램의 경우도 단지 이론적인 설명을 지양하고 법, 규정, 보조금 등 개도국에서 ‘한국 모델’을 실질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즉 개도국 생황에 맞는 컨설팅을 한다는 것이죠.”

허증수 이사장은 이러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개도국 등)하위직 공무원들에 대한 뿌리 교육도 결국 예산이 수반되는 만큼 예산 확충을 다시 한 번 언급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