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녹색 뉴딜 정책 도입…선점 노력 필요
탄소배출권 시장 성장 대비 선제적 대응해야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 그린 비즈니스가 어려운 수출환경을 뚫어나갈 새로운 승부처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각국이 그린 산업 육성을 위해 각종 정책을 내놓으면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부분이라는 지적이다. 아울러 세계 CDM 시장이 현재 급성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KOTRA가 최근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미·중·일 그린비즈니스를 잡아라’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미국·중국·일본 3개국의 연구소, 기업 등 총 9명의 연사가 참가해 각국의 그린 비즈니스 기회와 활용전략을 제시했다. 세계 각국은 경제위기와 환경위기를 동시에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차원에서 그린뉴딜정책을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미국은 전체 경기부양 예산 7870억 달러의 12.7%이자 미국 GDP의 0.7%인 1002억 달러를 녹색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미 컨설팅 회사 쯔바이그화이트(ZweigWhite)사 질 재크나인(Giles Jacknain) 전 부사장은 미 정부가 집중적으로 투자할 것으로 보이는 풍력터빈 부품 등 재생에너지 분야, 지능형 전력망 등 에너지 효율 개선분야, 그리고 수처리 분야의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은 태양광 에너지 도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발전 설비뿐 아니라, 태양광 에너지 도입 제약 요인 중 하나인 전력망, 상호보완 효과를 노릴 수 있는 전기 자동차 및 축전지 분야가 유망 분야로 대두될 전망이다.

미쯔비시 연구소의 코니시 야수토시(Konishi Yasutoshi) 수석연구원은 “한국은 PV(Photovoltaics, 태양전지), 전력망, 전기자동차의 핵심 구성요소인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축전지, 부품소재 산업의 발달로 새로운 사업기회 선점에 유리한 입장”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환경시장도 급팽창해 5년 후 3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정부의 환경 분야 투자금액은 7차 5개년 계획(1986∼1990) 기간 중 476억 위안에서 11차 5개년 계획(2006∼2010)에는 1조5433억 위안으로 32배나 늘었다.

중국절능투자공사(節能投者公司) 진서광(陳曙光) 부총재는 향후 5년 동안 전 세계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설비 구매의 30%가 중국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밝히고,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수 처리 분야가 특히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미국 풍력 터빈 제조업체 클리퍼(Clipper)사의 이안 클루더레이(Mr. Ian Cluderay) 구매 분야 부사장은 “미국 풍력발전 시장이 향후 5년간 연 1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품질과 기술력, 그리고 가격경쟁력을 갖춘 최적의 공급업체를 한국에서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KOTRA 조환익 사장은 “최근 각국 정부가 경쟁적으로 그린 뉴딜을 내놓으면서 녹색산업 분야의 비즈니스 기회도 넓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연관 산업인 반도체, 정보통신기기, 중장비 및 조선 제조업의 기술 수준이 높아 이를 잘 활용한다면 그린 비즈니스 시장을 선점함은 물론 수출의 새로운 돌파구로 삼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급성장하고 있는 세계 CDM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진출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KOTRA는 7일 우리 기업의 해외 CDM 시장 진출을 위한 설명회도 열렸다.

이날 KOTRA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CDM 사업을 통해 획득한 탄소배출권(CER)의 시장규모가 2006년 312억 달러, 2007년 640억 달러에 이어 2008년 1176억 달러로 매년 급격히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DM 프로젝트가 고수익 사업으로 알려지면서 선진국들은 앞 다퉈 개도국 CDM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 진행되는 506건의 프로젝트는 영국이 127개, 스위스가 95개, 네덜란드가 80개, 일본이 71개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국이 후진국에서 CDM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이유는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2008년 여름에 톤당 27유로까지 거래됐으며 최근 경기침체 영향으로 11유로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포스트교토체제가 발족하면 가격이 폭등해 톤당 100∼200유로까지 거래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고 KOTRA 측은 설명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Post-2012 체재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국가로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KOTRA측은 Post-2012 체재에서 1995년 대비 5% 감축의무가 부여될 경우 2015년 한해 약 49억 달러의 감축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국가경제에 최대 부담요인이 될 것이라며, 현재 개도국의 CER 생산단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아질 전망이므로 개도국 CDM 시장을 선점해 가급적 많은 CER을 사전에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CDM이란 온실가스 감축의무국이 의무가 없는 국가에서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여기서 감축된 배출량을 자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해 주는 제도로, 이 달 5일 현재 유엔에 등록된 CDM 프로젝트는 1553건이며, 국가별로는 중국이 506건, 인도 414건, 브라질 157건, 멕시코 113건의 순이며, 한국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25건이 등록돼 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