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김병문 소장

그린홈 보급사업·통합정보시스템 역점
태양광 등 원별 기술자문단 구성·운영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는 올해 신재생에너지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 관련 각종 제도 운영과 함께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 신재생에너지센터 중심에 김병문 소장이 있다. 김병문 소장은 지난해까지 동국대에서 재료역학을 강의했던 교수님이었다. 지난해 11월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으로 선임되면서 이제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무의 최전방을 맡게 됐다.
김병문 소장은 에너지계통, 기계설계, 연소기술, 제어시스템, 유체역학 등의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였다고 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관련 기업들을 만나는 시간을 많이 갖는다는 김병문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을 만나 올해 역점 사업과 그린홈 100만호 사업 등에 대해 들어봤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외에 최근의 산업화 진척에 따라 매출액, 고용인원 등 산업관련 자료 조사 및 최신의 산업·기술·정책에 대한 종합분석과 정보 제공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게 됩니다. 국내외 각종 데이터를 완벽히 구축해서 꼼꼼하게 프로그래밍할 예정입니다.”

김병문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은 먼저 올해말부터 시범적으로 가동되는 통합정보시스템에 대해 운을 땠다. 신재생에너지센터는 2년간 약 9억원의 예산을 들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올해 신재생에너지센터의 가장 역점적인 사업은 ‘그린홈 100만호 사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조기정착을 위한 기반 강화는 물론이며 보급사업의 활성화를 한 지원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의 조기정착을 위해 우선 중앙정부, 지자체의 정책 사업 연계방안을 마련할 것입니다. 또한 태양광 등 에너지원별 기술자문단을 약 15명 가량으로 구성·운영해 보급 현장에서의 애로 사항을 파악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총 993억원이 투입되는 올해 그린홈 보급사업은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소형풍력, 지열 등 5개 에너지원을 세분화해 지원규모를 정하고, 신규 에너지원도 기존 태양광주택 사업처럼 신재생에너지센터의 심사를 거쳐 전문기업을 선정하는 등의 형태로 사업이 진행된다.

신재생에너지센터는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통해 대상주택을 발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강원, 대구시와 업무협약을 통해 886호의 태양열주택보급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농림부와는 농어촌 주택 개량사업을, 국토부와는 임대주택사업 등과 연계하는 방법도 찾고 있다.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강화할 것입니다. 우선 마을, 공동주택 등 공동체 단위로 신청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해안·도서지역은 소형풍력을, 농어촌 난방에는 지열·바이오 등을 설치하는 등 지역특성에 맞는 설비 보급 확대를 위해 지자체에 정보 제공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여기에다 제조업체, 전문기업의 컨소시엄을 통한 사업 참여시 우대하는 등 국산제품의 보급 활성화를 위한 우대방안도 마련할 것입니다.”

김병문 소장은 경기침체에 따라 그린홈 보급 투자가 우축될 것을 감안, 사용자가 투자비 등을 나눠서 부담하는 소위 ‘그린홈 에스코사업’으로 부를 수 있는 방안도 모색중이라고 전했다. 이 경우 에스코기업 등도 적극적으로 유인한다는 것.

“개개인의 투자도 중요하지만 지자체나 정부 등의 보조와 어울려야 합니다. 개개인이 시설을 관리할 경우 실패한 사례가 많았습니다. 10년전 태양광주택 보급사업도 그러한 사례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공동체 단위나 마을의 공동시설 등에 설치하게 되면 관리시스템을 전문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보급이나 사후관리 등을 진행하는 데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우선 청년인턴들을 대폭 투입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젊은 인력들의 우수한 브레인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김병문 소장은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은 이제 ‘걸음마 단계’라고 말했다. 보급과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정부정책에 대한 조언과 함께 정부, 국민, 언론 등의 격려와 지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말을 남겼다.

“과거 정부정책이 일방통행이 많았습니다. 보급사업 등을 위해 각 지자체가 매년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있기에 지역에 맞는 사업 계획서를 받아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지역의 계획과 신재생에너지센터의 보급계획을 융합해 나갈 것입니다.”

김 소장의 말은 단순히 정부 정책을 따르는 것보다는 과거 실패사례를 거울삼아 그 지역에 맞는 맞춤식의 보급을 통해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잘 아시다시피 신재생에너지센터는 태양광분야의 국가인증기관(NCB)으로 지정됐습니다. 이에 국내 보급사업과 발맞춰 인증제품 지원을 통한 수출산업화 육성에도 온 힘을 다해나갈 것입니다. 공공기관 조달구매나 전시회 등에 인증제품을 우선 지원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인증마크 사용의 차별화 전략으로 판로를 지원할 것입니다. 또한 유관기관과 협조해 국제행사, 홈페이지 등 가시성과 접근성을 최대한 확보해 국제인증시스템을 활용한 인증마크의 국제 브랜드화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대학강단에 서다가 신재생에너지센터로 자리를 옮긴 김병문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은 센터 소장 취임 이후 빠르고 다양하고 막대한 양의 새로운 정보를 접하면서 재미를 느낀다고 했다. 김병문 소장은 정보가 많다보니 계획을 세우는 데도 유리한 점이 많다며 웃어보였다. 그의 웃음처럼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도 매번 웃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