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경연, 한·러 에너지·경제 포럼 개최
석유·가스·전력·플랜트 협력방안 논의

▲ 에너지경제연구원과 지식경제부는 지난 5일 롯데호텔 사파이어볼룸에서 ‘2008년 한·러 에너지·경제 포럼’을 개최했다.
지난 9월 한·러 정상회담이후 양국간 에너지·경제 협력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에너지경제원구원(원장 방기열)과 지식경제부는 지난 5일 롯데호텔 사파이어볼룸에서 ‘2008년 한·러 에너지·경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안철식 지경부 자원에너지실장을 비롯, 이바센초프 주한 러시아연방 대사 등 국내외 에너지전문가 250여명이 참석했다.

방기열 에경연 원장은 “한·러 정상회담 이후 양국간 에너지협력이 강화되고 있다”라며 “석유·가스·전력·플랜트·SOC 등을 통한 남북과 러시아간 네트워크 논의도 본격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철식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러시아는 세계적인 자원 부국이며 연평균 7% 성장하고 있는 국갚라며 “조만간 러시아 에너지부 장관이 방한하는 등 한국과 러시아간 경제·에너지분야 협력은 더욱 가시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글랜 이바센초프(G. Ivashentsov) 주한 러시아연방 대사는 “현재 남과 북은 신뢰가 부족한 상태”라며 “동북아 단일네트워크 시스템과 파이프라인 구축 등의 실질적인 이행은 북한 핵문제나 동북아 안보 분야를 더 빠른 속도로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동북아시아 에너지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러 에너지·경제 협력의 비전과 실천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포럼에서는 한국과 러시아간 에너지경제 협력 비전과 동북아 에너지 네트워크 연계 전략·과제 등이 집중 논의됐다.

한·러 에너지·경제 협력 비전에서는 한국외대 권원순 교수와 러시아 I. Scheulov 에너지부 국장이 에너지·경제 부문의 현황 및 여건에 대한 평가와 비전을 제시했으며, 양국간 협력 비전을 중심으로 발표가 이어졌다.

한국가스공사 이병호 부사장, Gazprom 북경사무소 A. Timchenco, 한국석유공사 서문규 부사장은 한·러 정상회담 시 석유·가스·전력·석유화학·플랜트건설 부문 협력에 대한 주요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석탄·전력·에너지플랜트 중심으로 양국간 협력에 대한 발표가 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러시아 석유가스연구소 Gulkov소장을 좌장으로 ▲석탄부문에서는 광진공 심권용 팀장과 Energy System Institute G.Saneev 교수·D.Sokolov 박사가 ▲전력부분에서는 한수원 노명섭 원자력정책처장과 Inter RAO UES Dmitry Ivin 부사장이 ▲에너지플랜트·SOC 건설부문은 STX중공업 유대우 부사장이 각각 발표를 이어갔다.

‘동북아시아 에너지네트워크 연계 전략·과제를 주제로 이어진 세 번째 세션에서는 남·북·러 에너지네트워크 연계를 위한 한·러 협력 방안에 대해 세종연구소 이태환 박사와 주한 러시아 무역대표부 A. Ruzhin 대표가 남·북·러 에너지 실크로드 구축과 관련된 한반도 정세, 북한의 사회·경제적 효과, 북한의 참여 방안 등에 대한 발표와 함께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러시아는 석유생산량 세계 2위(매장 7위)를 포함해 천연가스 세계 1위, 니켈 1위, 우라늄 4위, 석탄·철광석 5위, 금 6위에 이르는 등 세계 최대 에너지 부국이다.

<에너지네트워크 효과적 구성 방안은?>

한국, 북한경유시 러시아가 건설·소유 선호
컨소시엄 형태도 효과적…통일 이후 운영권 이전

지난 9월 이명박 대통령의 러시아 공식 방문을 통해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가즈프롬은 양국 정상이 참석한 자리에서 우리나라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연간 최소 10BCM(약 750만톤)의 천연가스를 도입하는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한반도 북측지역을 통과해 한국으로 오는 가스배관 건설 분야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날 이경연, 김경술 선임연구위원은 ‘남·북·러 에너지네트워크 연계를 위한 한·러 협력 방안’에서 PNG(Pipeline Natural Gas) 도입을 위한 네트워크 건설 방향에 대해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김 연구위원은 건설·운영·소유·유지 주체에 대한 각국의 입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선 러시아의 경우 한국이 북한을 경유하는 네크워크를 건설하고 한국이 이를 소유하되 북한을 경유할 경우의 운송요금을 한국이 북한에 지불하고 운영·유지·금융·보수 부분을 한국이 맡는 것을 선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한국의 경우 러시아가 북한을 경유하는 파이프라인을 건설·소유·운영·유지·금융·보수 등의 제반 사항을 모두 관장하고 북한을 경유하는 비용을 러시아측에서 지불하는 방식을 선호할 것으로 예측했다.

북한의 경우 북한을 경우하는 파이프라인에 대해 북한이 소유·건설하고 한국이 북한에 대해 경유비용을 지불하되 유지·보수와 금융부분은 북한 측이 담당하는 방법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에 각국의 상황을 고려해 러시아·한국·북한이 컨소시엄을 체결, 러시아와 북한지역, 남·북국경지역의 파이프라인 소유권과 유지·보수, 금융 등을 컨소시엄이 갖되 북한지역에 대한 운송요금도 컨소시엄이 북한에게 지불하는 방식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한국의 최적 시나리오는 통일이전에 러시아나 컨소시엄이 건설·소유하는 방식을 택하되 통일 이후 네크워크의 소유권을 넘겨받는 방식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는 해석을 내놔 관심을 집중시켰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