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 현상 곧 도랩관련 연구도 필요
신임 회장에 최명규 LS전선 부사장 선출

전 세계적으로 전력계통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으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국내 관련 기업들의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CIGRE 한국국내위원회 전력케이블연구회가 지난 20~21일 이틀간 대전에 소재한 LG화학 테크센터에서 ‘2008 전력케이블 심포지엄’을 산·학·연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공통 주제로 △지중송전 로드맵 △탄소나노튜브(CNT) 및 CNT 복합소재의 특성과 용도 △ Undergrou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Applications 등이, 송전 부문에서는 △가스절연지중송전선로 국산화 개발을 위한 설계 및 시험 방안 △초전도 케이블의 개발 현황 △초전도 전력케이블의 세계적 연구동향 및 개발 관련 기술 △250kV 해저케이블 시스템 개발 등이, 배전 부문에서는 △이동식 오수처리장비를 이용한 맨홀 청소공법 △지중저압선로 활선 누전점 탐사장비 개발 △4CT 조합 휴대용 누전측정 전류계 개발 △지중배전케이블 준공시험 관련 국제규격 동향과 국내 기준개정 방안 등이 각각 발표됐다.

▲ 신임회장으로 선출된 최명규 LS전선 부사장이 소감을 밝히고 있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외 모두 지중분야의 경우 기존 OF케이블은 2010년, XLPE는 2015년 이후 설계 수명한계에 도달하는 등 기존 케이블이 노후화 현상이 심화되고, 고장율도 증가해 대용량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신전력기기를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는 기존 케이블 수명 예측 및 장수명화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대용량 초전도 케이블 및 GIL 기술을 개발 적용하는 등 대용량화 과정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2.9kV 50MVA 배전급 초전도 케이블 개발 및 실증시험 완료 단계에 있으며, 154kV 1GVA 초전도케이블도 2011년 완료 목표로 개발 중에 있다. 수명예측 및 수명연장 연구를 통한 노후 케이블 개선책도 마련 중에 있다.

한편 초전도 기술 개발과 관련해서는 초전도 케이블 및 초전도 한류기를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초전도기기별 중장기 개발필요성 분석을 위한 기술성·경제성·시장성 검토결과 초전도 변압기는 기술적 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핵심요소 기술 개발이 우선적이며, 초전도 모터는 수용가기기로서 계통 측면이 아닌 수용가 보급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전력케이블연구회 구자윤 회장이 심포지엄 개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아울러 초전도 케이블 기술 개발이 성공적인 상용화로 가기 위해서는 초전도 케이블의 냉각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집중돼야 하며, 송전급 레벨로 올라가면서 절연의 중요성이 대두되는데 이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곳이 부족해 이에 대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편 이날 전력케이블연구회는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제7,8대 회장을 역임해 온 구자윤 한양대학교 교수 후임으로 최명규 LS전선 부사장을 제9대 신임회장으로 선임했다.
최 신임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력케이블산업의 경우 명실상부한 중전기 산업에 있어 중심으로 우뚝 섰다”며 “앞으로도 연구회가 미래 전력산업의 기술발전을 선도하는데 앞장서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구자윤 회장이 JS전선 황순철 사장(왼쪽)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있다.

특히 최 신임회장은 “기초소재 국산화, IT솔루션과의 접목, 지구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 개발 등 연구회가 새로운 미래를 이끌 성장 동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신임회장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인터뷰 - 전력케이블연구회 구자윤 회장

“국가가 테스트베드 역할 해야”
기반 인프라 활용 기업 능력 키워줘야
초전도케이블·GIL 등 집중 연구 필요

“1992년 출범한 전력케이블연구회는 국내 전력분야에서는 처음으로 하나의 아이템을 갖고 산·학·연·관이 모여 만든 최초의 연구위원회입니다. 지금은 변압기, 개폐장치 등 많이 생겨났는데 전력케이블연구회가 선구자 역할을 한 셈이죠.”

지난 20일 정기총회를 마지막으로 그동안 4년간 전력케이블연구회를 이끌어온 구자윤 한양대학교 교수는 연구회를 발족할 당시부터 참여한 인물이다.

구 교수는 1988년부터 CIGRE 전력케이블 분야에서 한국 대표로 활동해 오면서 당시 모든 기술을 일본을 통해 들여오는 것이 안타까워, 이를 탈피하고 다른 선진기업들과 다이렉트 채널을 가동함으로서 우리의 기술을 발전시켜나가고자 한 것이 출범 배경이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소규모로 시작했어요. 당시만 해도 기업들의 인식이 선진화돼 있지 않았었기에 한전을 중심으로 해 기업들을 독려해가며 성장을 주도해 왔습니다. 특히 당시 동종업체, 또 대·중소기업간 교류가 없었는데,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줌으로서 국내 전력케이블 기술 개발을 앞당길 수 있었고, 기술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한전을 비롯해 LS전선, 대한전선, 일진전기 등 굴지의 중전기기업체와 경원소재, LG화학, 디와이엠, 한국쓰리엠, 전기연구원, 대학 등 다양한 기업 및 연구기관이 참여하면서 명실상부한 대표 전력케이블분야 스터디 커미티로 자리 잡았다.

한편 구 교수는 향후 전력케이블 분야의 발전 방향도 제시했다. 구 교수는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 인텔리전트 그리드인데, 이는 초전도 케이블이나 GIL 등의 지중계통을 포함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연구 개발 활동이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초전도 케이블, GIL 등 연구회를 중심으로 산·학·연이 함께 연구를 수행해가고 있는데, 상당히 많은 부분 진척돼 있습니다. 하지만 지중 전력케이블 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할 일이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구 교수는 HVDC 해저케이블의 경우 ‘전력케이블의 꽃’이라고 표현하며,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LS전선에서 공장을 짓기 시작한 만큼 곧 해외 의존 현상도 탈피할 수 있는 등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구 교수는 우리나라 정부 및 기관에서 기업들이 신규사업을 할 수 있는 길을 터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와 달리 국가 인프라를 활용해 기업들이 돈을 벌어올 수 있도록 국가에서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기업이 국내에서 기반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서 실실적으로 능력을 쌓아 해외에 나가 돈을 벌어오는 것이 바로 지금 필요한 시스템입니다.”

이번 민간 기업에서 연구회장으로 선출된 것도 이와 같은 의미에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즉 그동안 한전, 대학에서 중심이 됐다면 이제는 기업에서 주도를 해가야 한다는 것. 특히 그동안 갑-을 관계가 아닌 동반자적 관계로 어깨를 나란히 하는 차원에서도 이번 기업인의 회장직 선출은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전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